지체보상금
채무자가 계약기간 내에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때에 채권자에게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지체상금 또는 지체보상금으로 불리며 아파트 입주 지체보상금, 공사지체보상금이 대표적인 예다. 보상금은 계약체결 당시 당사자간의 약정에 따라 정해진 일정률과 지체 날짜수를 곱해 산출되는 게 일반적이다. 아파트 분양의 경우 지체보상금은 아파트 분양자가 워낙 많은 탓에 분양공고문에 보상내용을 정해 공표하고 있다. 보상금은 계약불이행에 대한 보상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유가증권으로 지급될 수 있다. 그러나 지체의 이유가 채무자의 귀책사유가 아닌 천재지변, 행정명령, 기타 불가항력적 원인에 의한 경우에는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지체보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으며 채권자는 아무런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채무자는 단지 이같은 사유를 채권자에게 통보하기만 하면 된다.
-
주가드[Jugaad]
1. 인도에서 주변에 굴러다니는 재료를 끌어모아 만든 엉성한 차를 말한다. 낡은 지프에서 ...
-
전세·월세·준월세·준전세
임대차 계약은 전세, 월세, 준월세, 준전세 등 네 가지로 나뉜다. 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
증권거래세[securities transaction tax]
유가증권인 증권을 팔 때 내는 세금을 말한다. 재화의 유통에 대해서 과세하는 세금인 유통세...
-
주세개편안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2019년 6월5일 맥주와 막걸리에 대환 과세방식을 2020년부터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