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체보상금

 

채무자가 계약기간 내에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때에 채권자에게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지체상금 또는 지체보상금으로 불리며 아파트 입주 지체보상금, 공사지체보상금이 대표적인 예다. 보상금은 계약체결 당시 당사자간의 약정에 따라 정해진 일정률과 지체 날짜수를 곱해 산출되는 게 일반적이다. 아파트 분양의 경우 지체보상금은 아파트 분양자가 워낙 많은 탓에 분양공고문에 보상내용을 정해 공표하고 있다. 보상금은 계약불이행에 대한 보상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유가증권으로 지급될 수 있다. 그러나 지체의 이유가 채무자의 귀책사유가 아닌 천재지변, 행정명령, 기타 불가항력적 원인에 의한 경우에는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지체보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으며 채권자는 아무런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채무자는 단지 이같은 사유를 채권자에게 통보하기만 하면 된다.

  • 정보고속도로

    수십 수백 기가bps(1기가bps는 초당 10억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의 속도로...

  • 자동차부품 자기인증

    자동차부품 제작업자 또는 수입업자 스스로 정부에서 정한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인증(국내외적으...

  • 주휴일과 약정휴일

    근로기준법 55조는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한다...

  • 절대소득가설[absolute income hypothesis]

    현재 소득이 소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소득 이외 요인은 소비에 2차적인 영향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