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신환매입률

 

전신에 의하여 1일 이내에 자금이 결제될 때 적용되는 환율로서 재외본지점 및 거래은행망의 확대에 따른 자금이전이나 외화지불시 중요한 수단으로 많이 이용된다. 전신환율 금리요인이 포함되지 않는 순수한 의미의 환율이며 다른 대고객매매율의 기준이 된다.

수출입거래 등에 따라 대금을 주고받을 때 적용되는 일람출급환어음매매율, 기한부어음매매율, 수입어음결제율 등은 전신환매매율에 은행의 자금부담비용, 즉 환어음의 결제 또는 자금화에 소요되는 기간에 해당하는 금리만큼을 빼거나 더하여 결정된다. 전신환율에는 매도율과 매입률이 있다. 전신환매도율은 은행이 고객과의 거래에서 자국화를 대가로 외환을 팔 때 적용하는 환율로 외국에 있는 거래처에 타전, 매수자가 지정하는 자에게 일정한 외화를 지급하게 한다. 전신환매입률은 전신을 통해 외환을 살 때 적용하는 환율로 외국환매도자는 관계가 있는 외국 거주자에게 타전해서 일정한 외화를 특정 거래은행에 지급하도록 의뢰한다.

  • 중소기업

    중소기업은 근로자 수, 매출액, 자본금 등으로 분류하는데 업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제...

  • 자본시장[capital market]

    자본시장은 장기자금의 공급과 조달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넓게는 금융시장과 자본시장을 합하여 ...

  • 장부상 이익[paper profit]

    미실현이익으로 불리는 것으로 자산의 취득원가와 비교하여, 자산을 계속 보유함으로써 점점 시...

  • 재정보강

    기금이나 정책금융 확대,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안. 추경과 달리 국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