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정외환보유고

[adequate foreign exchange reserves]

경제의 안정성장에 필요한 외환보유의 규모. 국제수지가 계속적이든 일시적이든 불균형 상태가 되면 국내의 경제활동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 때문에 어느 나라나 외화와 금 등 국제유동성의 제1선 준비를 항상 일정량에 달하도록 해 이에 대처하게 마련이다. 이때 이러한 목적으로 보유하는 외화가 과연 어느 정도가 적정한가에 대한 문제가 생긴다. 외화보유량은 국제수지의 불균형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한도에서 될수록 작은 규모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일반적인 주장이다. 이는 불필요한 자금을 사장시켜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한 나라의 통화 당국(정부 및 중앙은행)이 보유하는 대외지급 준비자산으로서 금 및 외환보유액외환보유고라고 하는데, 이는 대체로 그 나라의 수입대금 결제와 대외채무상환과 관련된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외환보유고의 증감과 변동요인의 분석은 한 나라의 국제수지동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외환보유고의 적정 규모는 각국의 경제상태나 능력에 따라 서로 다르다.

  • 증권회사[securities companies]

    증권거래법에 의거, 기획재정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 증권업을 주업무로 하는 주식회사다. ...

  • 중간저장

    사용후핵연료를 처리 또는 영구처분하기 전까지 통상 50년 이상 저장하는 것. 수조에 보관하...

  • 종합투자계좌[IMA]

    고객에게 원금을 보장하면서 은행 금리 이상의 수익을 지급할 수 있는 통합계좌다. 발행어음 ...

  • 재정비전 2050

    정부가 수립 주인 중장기 재정전략을 일컫는다. 관계부처 협의, 전문가·일반국민·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