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할인

[rediscount]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에게 빌려주는 자금의 금리를 높이거나 낮추어 금융기관이 중앙은행으로부터 차입하는 자금규모를 조절함으로써 통화량을 줄이거나 늘리는 금융정책수단이다. 즉, 시중에 자금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풀려 있다고 판단되면 중앙은행은 재할인율을 높여 금융기관의 중앙은행 차입규모를 줄이도록 유도하여 금융기관이 시중에 풀 수 있는 자금규모를 줄게 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재할인율을 낮추어 유동성을 조절한다.

  •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예측해 정확도에 따라 정산금을 지급하는 제도. 분산...

  • 자산스왑[asset swap]

    고정금자자산과 변동금리자산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자산을 교환하는 스왑거래.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청약통장 납입액의 일부를 소득공제 해주는 것. 총급여액이 7000만원 이하, 과세연도 중 ...

  •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기업이 6년간 감사인을 자율적으로 선임한 후, 다음 3년은 증권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