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 GNP
[potential GNP]잠재 GNP란 실제 GNP(actual GNP)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노동과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완전히 고용할 경우 달성할 수 있는 최대 GNP 또는 자연실업률 상태하에서의 GNP, 즉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GNP라고 정의된다.
실제 GNP에서 잠재 GNP를 차감한 GNP 갭(gap)이 부(-)이면 한 경제가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수준하에서 조업하고 있으므로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키지 않으면서 유효 수효를 증가시켜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GNP 갭(gap)이 정(+)이면 실제 GNP가 잠재 GNP를 초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기가 과열되어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될 수 있으므로 총수요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잠재 GNP는 단기적으로 달성되어야 할 최적의 GNP라기보다는 그때그때의 경제상황에 따라 실제 GNP를 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로서의 의미가 크다.
-
자운스 범퍼[jounce bumper]
자동차 서스펜션에 장착돼 금속 스프링과 함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소모성 부품으로 ...
-
조세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인 세금을 말하는데, 과거 담배·인삼 등 전매사업에서 발생한 전점매익금도...
-
자금사정지표
일반적으로 시중의 자금사정이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에는 채권수익률, 어음부도율, ...
-
중소기업 업황 건강도지수[Small Business Health Index, SBHI]
중소제조업의 경기전반을 예측하는 지수로 중소기업진흥회가 2002년 5월 이후부터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