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적 실업

 

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기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수입이 낮고, 그 결과 완전한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반실업형태를 말한다. 영세농가나 도시의 소규모 영업층에 집거하는 과잉인구가 이에 해당하며 가장실업 또는 위장실업이라고도 한다. 이에 반해 마찰적 실업은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일치하지 못하는 데서 생기는 실업이며 구조적 실업은 자본주의 경제구조와 내재적 모순에서 오는 만성적이며 고정적인 실업이다.

  • 정기생명보험[term life insurance]

    계약한 기간 동안만 보상을 받는 생명보험의 일종. 만약 그 기간 동안에 보험가입자가 사망하...

  •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개인주택이나 아파트 등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 대출금리의 기준은 국내 8개 은행의 ...

  • 제로베이스 예산[zero-based budgeting, ZBB]

    모든 예산 항목에 대해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고 매년 0을 출발점으로 과거의 실적이나 효과,...

  • 제2국민역

    징병검사 또는 신체검사 결과 현역 또는 보충역 복무는 할 수 없으나 전시근로소집에 의한 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