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적 실업

 

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기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수입이 낮고, 그 결과 완전한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반실업형태를 말한다. 영세농가나 도시의 소규모 영업층에 집거하는 과잉인구가 이에 해당하며 가장실업 또는 위장실업이라고도 한다. 이에 반해 마찰적 실업은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일치하지 못하는 데서 생기는 실업이며 구조적 실업은 자본주의 경제구조와 내재적 모순에서 오는 만성적이며 고정적인 실업이다.

  • 제네릭 의약품[generic medicine]

    오리지널(original) 화학 합성의약품에 대비되는 말로 과거에는 '카피약' 또는 '복제...

  • 자본형성[capital formation]

    저축을 통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건물, 기계, 설비 등의 자본의 창출과 확장을 말한다.

  • 종합금융회사

    영국의 머천트 뱅크(merchant bank)와 미국의 투자은행(investment ban...

  • 조출생률[粗出生率, Crude Birth Rate, CBR]

    1년간 발생한 총 출생건수를 당해연도의 연앙기준(한 해의 중간인 7월1일)으로 나눈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