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적 실업

 

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기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수입이 낮고, 그 결과 완전한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반실업형태를 말한다. 영세농가나 도시의 소규모 영업층에 집거하는 과잉인구가 이에 해당하며 가장실업 또는 위장실업이라고도 한다. 이에 반해 마찰적 실업은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일치하지 못하는 데서 생기는 실업이며 구조적 실업은 자본주의 경제구조와 내재적 모순에서 오는 만성적이며 고정적인 실업이다.

  • 자산운용보고서

    펀드의 운용방식과 결과를 설명하는 보고서. 회사로 치면 연차보고서에 해당된다. 투자신탁(투...

  • 지-제로 시대[G-0, G-zero]

    인류 공동의 문제에 직면해 책임있게 국제 사회를 이끌어 갈 지도력을 갖춘 국가가 없는 시대...

  • 지역종합개발지구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산업ㆍ유통ㆍ연구ㆍ관광ㆍ주거ㆍ업무 등 다양한 단지와 도로 등 기반시...

  • 주식옵션[stock option]

    지정된 기간에 특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옵션은 투자의 매개체로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