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적 소득
[discretionary income]세금지급뿐 아니라 식품, 의복, 주거와 같은 물리적 필수품의 구입 후에 남아 있는 소비가능소득. 필수품 이외의 재화를 판매하는 사람은 물질적 요구와는 구별되는 다양한 심리적 요구에 호소함으로써 소비자의 임의적 소득을 얻으려고 경쟁한다. 경제가 약해지면 임의적 소득으로 구입되는 재화는 판매량 감소를 보인다. 예를 들어 값비싼 향수는 침체경기 동안에는 팔리지 않지만, 이를 판매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음식을 구입하고 임차료를 지급할 것이다.
-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외국인이 경영참여 등을 통해 국내 기업과 지속적인 경제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하는 투자를 말...
-
운전자보험
운전자보험은 교통사고에 따른 벌금이나 형사합의금(교통사고처리지원금), 변호사 선임비 등을 ...
-
용도미지정주파수대역[Flexible Access Common Spectrum, FACS]
정해진 용도 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으로, 누구나 기술기준에 맞춰...
-
아웃 플레이스먼트[out placement]
아웃 플레이스먼트란 재취직 알선을 말한다. 종업원의 해고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과 그곳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