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프라

[infrastructure]

사회적 생산기반을 뜻하는 말로 인프라스트럭처를 줄여 간단히 ‘인프라’라고 부른다. 인프라는 사회적 생산기반, 경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을 말한다. 도로, 하천, 항만, 농업기반, 공항 등과 같은 경제활동에 밀접한 사회자본을 가리키는데 최근에는 학교나 병원, 공원과 같은 사회복지 및 생활환경 시설 등 사회간접자본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 에너지 빈곤가구[energy poor households]

    전기료, 연료, 난방비 등의 광열비를 기준으로 한 에너지 구입 비용에 수입의 10%이상을 ...

  • 엠폭스[MPOX]

    1958년 아프리카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된 인수 공통감염병. 코로나 19와 동급인 2급 감...

  • 액체생검[Liquid biopsies]

    피 한 방울로 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술. 수술이나 시술을 통해 샘플을 획득해야 하는...

  • 온렌딩 대출[on-lending]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자금 대출의 하나다. 정책금융공사가 저리의 자금을 시중은행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