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관리부 리스
[maintenance lease]통상적인 리스는 이용자가 대상물건을 취득할 때 그 비용에 대해서만 금융지원을 받는다. 이에 비해 유지관리부 리스는 취득시의 구입비용뿐 아니라 리스기간 중 대상물건의 제세금, 보험료, 수리비 등 유지관리에 따르는 비용까지도 도맡아 지원·관리해주는 리스상품이다.
리스 이용자는 그 대신 해당 리스회사에 물건의 구입 비용과 각종 유지관리비용의 원가에 일정 수수료를 매달 분할 상환하면 된다. 이용자로서는 물건의 구입 및 관리에 따르는 비용부담을 덜 수 있다. 외국에서는 자동차, 컴퓨터, 의료장비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자동차의 유지관리부 리스가 일반화돼 현재 1백 50만 대 가량의 자동차가 이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리스기간은 3년 6개월 이상이며 중도 해약이 안 된다. 또 보험에 들 경우 사용자 명의의 보험가입이 가능해 무사고 경력 등에 따라 보험률을 낮출 수도 있다.
-
유무선대체[fixed mobile substitution, FMS]
기존 이동통신망을 통해 휴대폰으로 통화하지만 집이나 사무실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는 유선전화...
-
유럽식 모바일방송 규격[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DVB-H]
노키아 주도로 개발된 휴대용 유럽형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을 말한다. 우리 나라 주도의 D...
-
인수[acquisition]
회사(또는 개인)가 다른 회사의 주식과 경영권을 함께 사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합...
-
애플 연례 세계개발자회의[Apple's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 WWDC]
애플이 1987년 부터 매년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하는 신기술, 신제품 공개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