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National Computing and Information Service, NCIS]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행정안전부 산하의 전산 전문 기관으로, 정부의 핵심 정보시스템과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운영·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전자 행정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행정전산망을 물리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으로, 대전 본원을 중심으로 광주, 김해 등에 데이터센터를 두고 국가 전산 인프라의 안정적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고성능 서버, 백업 시스템, 보안 장비 등 대규모 전산 자원을 통합 관리하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수백여 개의 정보시스템을 24시간 무중단 체제로 운영하는 것이 주된 임무다.

이 기관의 존재는 곧 전자정부 구현의 토대이자, 국가 디지털 운영의 심장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2025년 9월 말, 대전 본원 전산센터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교체 작업 도중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 전산 시스템 수백 개가 동시에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 사고는 전산 인프라의 물리적 안정성과 이중화 설계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감당해야 할 기술적 책임과 위기 대응 능력의 범위를 다시금 돌아보게 했다.

  •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

    증권분석을 할 때 자산이나 포트폴리오에서 기대되는 수익률의 기대가치 또는 평균. 특정 자산...

  • 글로벌 500[global 500]

    유엔환경계획(UNEP)이 환경보호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를 지구 전체의 환경 사절로 위촉...

  • 구제금융[bailout]

    국가난 기업 등이 도산해 세계경제나 국민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경우, 도산...

  • 개인형 퇴직연금[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IRP]

    개인형 퇴직연금(IRP)는 근로자가 재직 중에 가입할 수 있는 퇴직연금 상품이다.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