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요구불예금

[demand deposit]

요구불 예금은 상업 은행의 요구불 계좌에 보관된 자금으로, 예금자가 언제든지 조건 없이 인출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진 금융 상품이다.

이 예금은 현금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며, 국가의 협소하게 정의된 통화 공급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총 통화량의 구성 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구불 예금의 가장 큰 특징은 예금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예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유동성 덕분에 통화성예금으로 불리며, 예금 인출이 자유로운 대신 이자율이 거의 없거나 매우 낮다. 이는 금융기관이 요구불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 운용의 불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지급준비율이 높아 금융기관의 자금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경제 활동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달리 정기예금은 이자율이 높지만 일정 기간 동안 예금 인출이 제한되는 반면, 요구불 예금은 유동적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금융 거래를 필요로 하는 개인과 기업에게 필수적인 금융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 위성방송수신기[set top box, STB]

    TV를 통해서 인터넷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넷 전용 수신기로 웹검색이나 전자우편 등 ...

  • 아시아 단일 통화[Asian Currency Unit, ACU]

    한국, 중국, 일본과 동남아국가연합(ASEAN) 10개국 등 13개국의 화폐가치를 반영하는...

  •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과학적으로 마케팅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 연구는 기초연구와 그 응용화 ...

  • 의무약정제

    휴대폰 단말기 보조금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일정기간(12∼24개월)동안 한 이동통신 사업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