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요구불예금

[demand deposit]

요구불 예금은 상업 은행의 요구불 계좌에 보관된 자금으로, 예금자가 언제든지 조건 없이 인출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진 금융 상품이다.

이 예금은 현금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며, 국가의 협소하게 정의된 통화 공급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총 통화량의 구성 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구불 예금의 가장 큰 특징은 예금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예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유동성 덕분에 통화성예금으로 불리며, 예금 인출이 자유로운 대신 이자율이 거의 없거나 매우 낮다. 이는 금융기관이 요구불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 운용의 불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지급준비율이 높아 금융기관의 자금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경제 활동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달리 정기예금은 이자율이 높지만 일정 기간 동안 예금 인출이 제한되는 반면, 요구불 예금은 유동적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금융 거래를 필요로 하는 개인과 기업에게 필수적인 금융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 온라인 쇼핑[On-Line Shopping]

    PC와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재화와 용역을 거래하는 소비자의 구매 행...

  • 원유 파생결합증권

    WTI, 브렌트유 등 원유 가격과 연계해 수익률이 결정되는 금융투자상품이다. 기초자산인 원...

  • 이잔이싱 프로젝트[一站一星]

    중국이 2018년 11월 11일 광군제(光棍節·독신자의 날)에 전자상거래 전용 미니 우주정...

  • 예금은행[deposit banks]

    예금은행은 ‘총부채 중 요구불예금의 비중이 높아 예금통화의 창출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