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요구불예금

[demand deposit]

요구불 예금은 상업 은행의 요구불 계좌에 보관된 자금으로, 예금자가 언제든지 조건 없이 인출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진 금융 상품이다.

이 예금은 현금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며, 국가의 협소하게 정의된 통화 공급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총 통화량의 구성 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구불 예금의 가장 큰 특징은 예금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예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유동성 덕분에 통화성예금으로 불리며, 예금 인출이 자유로운 대신 이자율이 거의 없거나 매우 낮다. 이는 금융기관이 요구불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 운용의 불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지급준비율이 높아 금융기관의 자금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경제 활동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달리 정기예금은 이자율이 높지만 일정 기간 동안 예금 인출이 제한되는 반면, 요구불 예금은 유동적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금융 거래를 필요로 하는 개인과 기업에게 필수적인 금융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 웹 DIY[Web Do-It-Yourself]

    사용자들이 입맛에 맞게 구성할 수 있는 웹을 말한다. 사용자들이 직접 구획을 만들고 내 입...

  •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매출 총이익에서 다시 일반관리비와 판매비를 뺀 것이 영업이...

  • 엠본[multicast bone, M bone]

    실시간 데이터 전송기술의 하나로, 화상회의나 원격교육 등의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 ‘엠본...

  •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 capital gains tax]

    토지나 건물 등 부동산이나 부동산 분양권 또는 주식과 같은 자산에 대한 권리를 양도할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