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시공시

[timely disclosure]

수시공시는 기업의 주요 경영 결정이나 사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즉시 모든 투자자에게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정보의 공평한 제공과 시장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수시공시의 핵심이다.

수시공시는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경영 사항이 발생했을 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대규모 자산의 매입 또는 매각, 중요한 소송의 발생, 임원의 변동, 새로운 사업 추진, 대규모 계약 체결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정보는 즉시 시장에 공개되어야 한다. 이로써 모든 투자자가 동일한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수시공시를 통해 주식시장은 기업의 주요 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즉각적인 정보 공개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정보의 비대칭성을 최소화하고 투자자들이 공정하게 투자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는 또한 주식시장에서의 불필요한 추측과 혼란을 줄이고,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수시공시는 공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주식시장의 신뢰를 유지하고,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공시 의무를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시장과의 신뢰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해야 할 것이다.

관련어

  • 스크램블 방송[scramble broadcast, SCAB]

    특수한 신호를 넣거나 주사선의 순번을 바꿔서 특정 이용자만 시청하도록 한 방송. 위성 방송...

  • 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of Korean Enterpreneurs, INKE]

    세계 49개국에 79개 지부, 1000여명의 회원을 둔 한인 벤처기업들의 네트워크. 200...

  • 상호주[shares in mutual ownership]

    상장법인이 발행한 주식을 다른 상장법인으로 하여금 소유하게 하고 이의 대가로 다른 상장법인...

  • 수능백분위

    전체 수험생의 성적을 최고점부터 최하점까지 순서대로 배열한 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석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