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고기록장치

[event data recorder, EDR]

자동차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상태와 운전자의 행동 등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장치. 항공기의 블랙박스에 해당한다.

충돌 속도,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 안전벨트 착용 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급발진 추정 사고 등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2012년부터 차량 제조사의 EDR 기록 공개가 의무화되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EDR을 분석해 차량 속도, 엔진 회전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급발진 검정 결과 대부분이 ‘운전자의 차량 미숙’ 등으로 결론이 나서 EDR이 차량 업체의 면죄부로 쓰인다는 비판도 있다.

CCTV와 블랙박스 오디오 등에 차량 급발진의 단서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EDR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미스 부인

    =와타나베 부인

  • 실권주 청약정기예금

    실권주 청약정기예금이란 공모주 청약예금과 성격이 비슷한데 다른 점은 실권주 청약을 할 수 ...

  • 슬로 스티밍[slow steaming]

    해운업계에서 감속운항을 통해 운항되는 배의 숫자를 늘리는 정책으로 유류비를 낮추기 위한 것...

  • 식물품종보호제도

    종자산업법''에 따라 유·무성 관계없이 식물의 신품종을 보호하는 제도. 신규성, 구별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