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티키 인플레이션

[sticky inflation]

한번 오른 물가가 고착화되어 쉽게 내려가지 않는 현상.

"Sticky" (끈적하다)와 "Inflation" (인플레이션, 고물가)의 합성어로, 주로 변동성이 낮은 재화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개념에서 유래했다.

이 현상의 특징으로는 장기간 지속되는 물가 상승, 낮은 변동성, 그리고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물가 하락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스티키 인플레이션 현상이 얼마나 심한지를 보여주는 현상을 인플레이션 고착화 (inflation entrenchment)라고 한다.

이코노미스트는 △근원물가 △단위 노동비용 △인플레이션 확산 수준(물가가 전년 대비 2% 이상 상승한 품목 비중) △기대인플레이션(소비자의 1년 후 물가 전망) △구글 검색 동향 등 5개 지표를 토대로 인플레이션 고착화 점수를 산출한다.

  • 서비스 수준협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

    IT 서비스 제공업체와 고객간에 맺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계약으로 협약을 통해 사전에 정의...

  • 스몸비[smombie]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들로 스마트폰(smart phone)과 좀비(zombi...

  • 수능백분위

    전체 수험생의 성적을 최고점부터 최하점까지 순서대로 배열한 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석차점...

  • 스도쿠

    2005년 일본이 유행시킨 숫자퍼즐게임을 말한다. 스도쿠(數獨)는 ''숫자들이 겹치지 말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