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금

[deposit]

예금은 일반대중 또는 기업, 공공기관 등 불특정 다수로부터 은행이 보관, 예탁을 받아 관리·운용할 수 있는 자금으로서 크게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으로 구분된다. 요구불예금은 일시적 보관 또는 출납편의 도모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금주의 인출요구가 있으면 언제든지 무조건 지급해야 하는 통화성예금으로 당좌예금, 보통예금, 가계당좌예금별단예금 등이 이에 속한다.

저축성예금은 저축 또는 이자수입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금의 납입과 인출 방법 등에 일정한 제약조건이 있는 기한부예금으로서 정기예금,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목돈마련저축(재형저축) 및 노동자장기저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기준은 1980년대 초 이후 금융혁신 및 금융자유화 촉진과 더불어 저축성예금이면서 요구불예금의 특성을 가진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등 새로운 금융상품의 도입으로 인해 그 구분이 불분명해지게 되었다. 한편 양도성예금증서(CD)는 그 성격상 예금이지만 계리상으로는 예금과 구별하고 있다.

  • 엑시노스 9810

    삼성전자가 2세대 10나노 핀펫(3차원 구조) 공정으로 독자 개발한 모바일 AP로 2018...

  • 영구적 불태화 개입[permanent sterilized intervention, PSI]

    핫머니 규제와 함께 들어오는 유입되는 외국자본에 상응하는 해외자산을 사들여 통화 가치의 균...

  • 아웃퍼폼[outperform]

    특정 주식의 상승률이 시장 평균보다 더 클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에 해당 주식을 매입하라는 ...

  • 위구르법 2019[the Uygur Intervention and Global Humanitarian Unified Response Act of 2019]

    2019년 9월 미국 상원을 9월 상원을 통과한 위구르법을 강화한 것으로 중국 신장위구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