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금

[deposit]

예금은 일반대중 또는 기업, 공공기관 등 불특정 다수로부터 은행이 보관, 예탁을 받아 관리·운용할 수 있는 자금으로서 크게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으로 구분된다. 요구불예금은 일시적 보관 또는 출납편의 도모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금주의 인출요구가 있으면 언제든지 무조건 지급해야 하는 통화성예금으로 당좌예금, 보통예금, 가계당좌예금별단예금 등이 이에 속한다.

저축성예금은 저축 또는 이자수입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금의 납입과 인출 방법 등에 일정한 제약조건이 있는 기한부예금으로서 정기예금,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목돈마련저축(재형저축) 및 노동자장기저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기준은 1980년대 초 이후 금융혁신 및 금융자유화 촉진과 더불어 저축성예금이면서 요구불예금의 특성을 가진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등 새로운 금융상품의 도입으로 인해 그 구분이 불분명해지게 되었다. 한편 양도성예금증서(CD)는 그 성격상 예금이지만 계리상으로는 예금과 구별하고 있다.

  • 오가노이드[organoid]

    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키워 사람의 장기 구조와 같은 조직을 구현한 것으로 "장기 유사체"라...

  • 예대율[loan to deposit ratio]

    대출금을 예수금으로 나눈 비율 또는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의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 웹2.0[Web.2.0]

    누구나 인터넷 정보를 손쉽게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인터넷 환...

  • 액침 냉각[liquid immersion cooling]

    전자 제품을 비전도성 액체에 직접 담가 열을 제거하는 방식. 공기를 이용한 냉각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