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금

[deposit]

예금은 일반대중 또는 기업, 공공기관 등 불특정 다수로부터 은행이 보관, 예탁을 받아 관리·운용할 수 있는 자금으로서 크게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으로 구분된다. 요구불예금은 일시적 보관 또는 출납편의 도모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금주의 인출요구가 있으면 언제든지 무조건 지급해야 하는 통화성예금으로 당좌예금, 보통예금, 가계당좌예금별단예금 등이 이에 속한다.

저축성예금은 저축 또는 이자수입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금의 납입과 인출 방법 등에 일정한 제약조건이 있는 기한부예금으로서 정기예금,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목돈마련저축(재형저축) 및 노동자장기저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기준은 1980년대 초 이후 금융혁신 및 금융자유화 촉진과 더불어 저축성예금이면서 요구불예금의 특성을 가진 저축예금, 자유저축예금 등 새로운 금융상품의 도입으로 인해 그 구분이 불분명해지게 되었다. 한편 양도성예금증서(CD)는 그 성격상 예금이지만 계리상으로는 예금과 구별하고 있다.

  • 엑시노스 980

    삼성전자가 5세대(5G) 이동통신용 통신칩(모뎀칩)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

  • 우리사주저축제도

    우리사주제도는 근로자들이 우리사주조합을 결성, 자기 회사 주식을 매입해 보유하도록 하는 제...

  • 음성인식 소프트웨어[speech recognition software]

    워드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과 같은 함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 컴...

  • 역윔블던 효과[anti-Wimbledon effect]

    선진국의 헤지펀드들이 개발도상국에 몰려들어 기업을 인수하거나 금리차를 이용하여 이익을 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