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PIM

[processing in memory]

데이터 처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메모리 내부에서 연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

CPU와 메모리가 ‘한 몸’이어서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지금은 따로 떨어진 CPU와 메모리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시간이 소요되지만 PIM에선 이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이다. CPU의 부담이 줄어드니 덤으로 전력 소모량도 감소한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처리 분야에서 데이터 이동 정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차세대 지능형 메모리’라고 불린다.

관련어

  • PPM[parts per million]

    1백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대기오염의 경우 1천ℓ의 대기에 1㏄의 오염 기체가 있다면...

  • PHA[Polyhydroxyalkanoates]

    설탕이나 지방을 발효시킨 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이는 ...

  • PDL[Pixel Define Layer]

    OLED 패널에서 유기물발광층(EML)의 적(R)·녹(G)·청(B) 화소가 서로 간섭하지 ...

  • ppm[pages per minute]

    분당 페이지 수. 예를 들어 4ppm이라고 표시돼 있었다면, 1분에 4페이지를 출력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