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희생비율

[sacrifice ration]

물가 상승률을 낮출 때 경기가 얼마나 침체될지를 나타낸 것.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낮아질 때 국내총생산(GDP)이 얼마나 감소하는가를 나타나는데 실질GDP 감소율을 인플레이션 하락율로 나누어 구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991년 3분기~1995년 3분기, 2004년 3분기~2006년 4분기, 2011년 3분기~2013년 1분기 등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세 시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의 희생 비율은 평균 0.96으로 나타났다. 현재 5%대인 물가 상승률을 한은 목표치인 2%로 낮춘다면 GDP가 3%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얘기다.

한은 계산은 조금 다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2.5%포인트 인상이 물가 상승률을 1%포인트 정도 낮추고,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은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전후로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토대로 계산해 보면 희생 비율은 0.5가 된다.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낮아질 때 GDP는 0.5% 감소한다는 뜻이다.

  • 힐빌리[Hillbilly]

    원래는 미국에서 주로 농업과 광업에 종사하며,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던 남부 애팔래치...

  • 혼혈인

    서로 인종이 다른 부모에 의하여 태어난 자녀에게 양쪽의 형질이 섞이는 일 또는 그 혈통을 ...

  • 허가제

    관련 법에 의해 원칙적으로 어떤 행위(물리적 행위나 상행위 등)가 금지되지만 행정관청에 사...

  • 환 리스크[exchange risk]

    외환을 보유,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말한다. 외환 시세는 수시로 변한다. 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