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희생비율

[sacrifice ration]

물가 상승률을 낮출 때 경기가 얼마나 침체될지를 나타낸 것.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낮아질 때 국내총생산(GDP)이 얼마나 감소하는가를 나타나는데 실질GDP 감소율을 인플레이션 하락율로 나누어 구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991년 3분기~1995년 3분기, 2004년 3분기~2006년 4분기, 2011년 3분기~2013년 1분기 등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세 시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의 희생 비율은 평균 0.96으로 나타났다. 현재 5%대인 물가 상승률을 한은 목표치인 2%로 낮춘다면 GDP가 3%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얘기다.

한은 계산은 조금 다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2.5%포인트 인상이 물가 상승률을 1%포인트 정도 낮추고,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은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전후로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토대로 계산해 보면 희생 비율은 0.5가 된다.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낮아질 때 GDP는 0.5% 감소한다는 뜻이다.

  • 현가[present value]

    미래 지불액의 현재가치. 직접 할인율로 할인된 지불흐름. 현가법은 일명 할인현금흐름법이라고...

  • 할당관세[quota tariff]

    물가 안정,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기본 관세율의 40% 범위 안에서 올리거나 내려 적...

  • 한국자산관리공사[Korea Asset Management Corp, 캠코(KAMCO)]

    금융기관이 보유하는 부실자산의 정리와 부실징후기업의 경영정상화 지원을 주된 업무로 하는 법...

  • 후성유전[epigenetics]

    인간의 생명현상이 DNA 염기서열에 담긴 유전정보 그대로 일어나지 않고 살면서 겪는 환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