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이언트 스텝

[giant step]

금리를 한 꺼번에 0.75bp(베이시스 포인트)올리는 것.

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리는 0.25bp씩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우려가 커질 때는 이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한다.

2022년 4월 18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다”라며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3.5%로 올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불러드 총재는 2022년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12명의 위원 중 한 명이다.

그는 “연내 3.5%에 도달하려면 올해 남아 있는 FOMC(6회) 때마다 50bp(빅 스텝)씩 기준금리를 올리면 되지만 필요하다면 한 번에 75bp 인상도 배제해선 안 된다”라고 했다. Fed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75bp를 올린 것은 1994년 11월이 마지막이다.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빅 스텝’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으로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관련어

  • 중립금리[neutral interest rate, natural rate]

    경제가 과열(인플레이션)되거나 침체(디플레이션)되지 않고 잠재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는 이론...

  • 재고투자[inventory investment]

    기업은 자본설비와 노동력을 사용하여 생산활동을 하나, 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재료...

  • 적폐[積弊, great accumulation of filth or corruption, Augean stable]

    오랫동안 쌓이고 쌓인 관행, 부패, 비리 등의 폐단을 말한다. 이를 뿌리 뽑으려면 조직, ...

  • 자산·자본의 관계비율[relationship ratios of assets, liabilities, and stockholder’s equity]

    자산·자본의 관계비율은 일정 시점에서의 기업 재무상태를 표시하는 대차대조표 각 항목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