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속가능 항공연료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기존의 석유 항공유를 대체하는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유를 의미한다. 주로 동식물성 기름이나 폐식용유, 해조류, 사탕수수, 바이오매스 등을 활용해 SAF를 생산한다.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
'탄소중립항공유' 혹은 '바이오 항공유' 등으로도 불린다.


항공기는 자동차나 버스, 기차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배 가까이 많다.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등에 따르면 승객 한 명이 1㎞ 이동할 때 탄소발자국은 버스 105g, 중형차(디젤) 171g, 비행기(단거리)는 255g 등이다.

이런 이유로 항공 부문에 대한 탄소배출 규제는 계속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EU에서 이륙하는 모든 비행기에 SAF 사용을 의무화했다. SAF 혼합 비율은 2025년 2%에서 2050년 63%로 계속 확대될 전망이다.

문제는 가격이다. SAF를 비롯한 바이오 항공유는 기존 항공유 대비 가격이 적게는 세 배, 많게는 다섯 배가량 비싸다. 업계에 따르면 2025년 EU 출발 항공편에 SAF 의무 비중인 2%가 적용된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37만7152달러(약 4억6000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유럽에는 국내 항공사의 ‘알짜 노선’이 포진해 있는 만큼 비용 부담은 계속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 항공사가 SAF를 공급받는 것도 쉽지 않다. 국내에서 SAF 공급 계약을 맺은 항공사는 대한항공뿐이다. 대한항공은 지난 2월 프랑스 현지 정유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파리~인천 노선에 SAF를 1%가량 혼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SAF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업체는 국내에 전무하다. 2021년 6월 대한항공과 현대오일뱅크가 ‘바이오 항공유 제조 및 사용 기반 조성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맺긴 했지만, 실제 제품 생산 및 사용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 제대혈[cord blood]

    출산 시 태반과 탯줄에 있는 혈액. 간엽줄기세포(근육 뼈 연골 등으로 분화), 조혈줄기세포...

  • 접점 마케팅[moment of truth marketing, MOT marketing]

    고객과의 접촉하는 모든 순간이 가장 중요하고 진실하기에 이를 잘 관리해야 한다는 이론. 원...

  • 지방교부세 감액

    지방교부세 감액은 감사원·정부합동감사에서 잘못된 재정 운영 사항이 적발되면 감액심의위원회 ...

  • 자산할당방법

    보험 계약 금액이 보험사의 자산 형성에 기여한 공헌도를 평가하는 방식. 계약자들이 낸 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