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항공연료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기존의 석유 항공유를 대체하는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유를 의미한다. 주로 동식물성 기름이나 폐식용유, 해조류, 사탕수수, 바이오매스 등을 활용해 SAF를 생산한다.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 일반 항공유와 섞어 쓸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엔진 등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탄소중립항공유' 혹은 '바이오 항공유' 등으로도 불린다.
항공기는 자동차나 버스, 기차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배 가까이 많다.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등에 따르면 승객 한 명이 1㎞ 이동할 때 탄소발자국은 버스 105g, 중형차(디젤) 171g, 비행기(단거리)는 255g 등이다.
이런 이유로 항공 부문에 대한 탄소배출 규제는 계속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EU에서 이륙하는 모든 비행기에 SAF 사용을 의무화했다. SAF 혼합 비율은 2025년 2%에서 2050년 63%로 계속 확대될 전망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193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국제항공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를 시행하고 있다. 2027년부터는 국내 출발 국제선의 모든 항공편에 SAF 혼합 급유(1% 내외)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한국도 2027년부터 국내서 출발하는 국제선의 모든 항공편은 기존 항공유에 SAF 1%를 의무적으로 혼합해 사용해야 한다.
미국은 의무 사용 같은 ‘채찍’ 대신 세액공제란 ‘당근’으로 SAF 시장을 키우고 있다. SAF를 1갤런(3.75L) 생산할 때마다 최대 1.75달러를 세액공제해준다. 전 세계 SAF 전용 공장(359개)의 3분의 1(107개)이 미국에 들어선 이유다.
이 덕분에 글로벌 SAF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IHS마켓에 따르면 전 세계 SAF 사용량은 2022년 37만5000t에서 2035년 2243만6000t으로 60배 가까이 커질 전망이다.
문제는 가격이다. SAF를 비롯한 바이오 항공유는 기존 항공유 대비 가격이 적게는 두 배, 많게는 세 배가량 비싸다. . 2022년 기준 SAF 생산비용은 t당 2500달러로 일반 항공유(t당 892달러)의 2~3배에 달한다.
-
자기거래 승인 강화
자기거래는 회사 대표나 이사 등이 자신 또는 제3자를 위해 회사와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
-
쟝르소설
추리소설은 추리를 기초로 사건이 발달·전개되는 소설을 말한다. 미스터리소설은 초자연적 이야...
-
종교적 신앙 등에 따른 병역거부
종교적 이유, 평화주의 신념 등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이 지켜야 할 의무 가운데 하나인 병역...
-
자격지출
복지처럼 수급 요건을 충족하면 정부가 돈을 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