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중위소득
기초생활보장 급여 기준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결정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 값.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의 가구 경상소득 중간 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을 반영해 다음해 기준 중위소득을 정한다.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등 12개 부처에서 운영하는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등 77개 복지사업의 지급 기준이 된다.
예컨대 극빈층의 생활비를 지원하는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 가구에 지급된다. 기준 중위소득과 실제 저소득 가구 소득의 차액을 정부가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을 4인 가구에 512만1080원으로 결정됐다. 2021년의 487만6500원 대비 5.02% 오른 금액이다.
이 같은 인상폭은 상대적 빈곤 개념을 적용해 기준 중위소득을 복지정책의 기준으로 삼기로 한 2015년 이후 가장 큰 것이다. 2016년 4%이던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은 2017~2018년 1%대로 낮아졌다가 2019년 2.09%, 2020년 2.94%, 2021년 2.68% 등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
고령친화산업
노인들을 상대로한 산업 전반을 말한다. 실버타운으로 대표되는 노인주거시설과 각종 의료기기 ...
-
그린스펀효과[The Greenspan Effect]
1987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으로 재임했던 앨런 그린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PCC는 88년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
-
금산법 24조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의 24조항을 말한다. 24조는 금융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