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싱크탱크

[think tank]

두뇌집단. 각 분야 전문가를 조직적으로 결집하여 조사, 분석 및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 싱크탱크라는 말은 2차 세계대전 때 전문가 집단들이 대거 전쟁 조직에 편입되면서 생겨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학기술연구원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정부나 기업체로부터 의뢰받은 각종 과제에 대해 분석·예측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제공하며 기술을 직접 개발하기도 한다.

관련기사

  • 美 싱크탱크 주요재원은 기부금

    미국 워싱턴DC에는 500여개의 싱크탱크가 있다. 싱크탱크는 전문가들을 모아 특정 주제에 대한 조사·분석과 연구개발을 진행해 성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싱크탱크라는 말은 2차 세계대전 때 전문가 집단들이 대거 전쟁 조직에 편입되면서 생겨났다. 워싱턴의 싱크탱크는 특정 집단이나 정파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익 단체와 다르다. 정책 현안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해 정부나 의회의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개 정파적인 갈등이나 관료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회색지대에 놓인 정책 과제를 연구 주제로 삼는 경우가 많다. 정부와 무관한 독립 싱크탱크가 대다수라 비(非)정부 자금을 통해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 내 영향력이 가장 큰 싱크탱크 중 하나인 브루킹스연구소의 1년 예산은 1억3200만달러(약 1460억원·2012년 기준)다. 전체 운영비의 80%가량이 각종 재단과 기업, 개인들에게서 나온 기부금이다. 정부와 관련된 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이내다. 브루킹스연구소 조직은 크게 경제 연구, 대외 정책, 세계 경제와 개발, 공공 경영, 도시정책 등으로 나뉜다. 산하에 수십 개의 연구센터가 있다. 각 연구센터의 연구 활동과 예산은 분리 독립돼 있다. 대표적인 싱크탱크들은 정부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업의 자유, 작은 정부,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는 헤리티지재단이 1981년 내놓은 리더십 지침 보고서는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운영 방침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싱크탱크 출신이 항상 주요 보직의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2008년 국무부 부장관으로 발탁된 제임스 스타인버그는 브루킹스연구소에서 10년 이상 외교 안보 전문가로 활동했다. 반대로 정부 고위직을 지낸 인사가 싱크탱크로 옮기는 일도 많다. 2006년부터 8년간 미국 중앙은행(Fed)을 이끈 벤 버냉키 전 Fed 의장은 현재 브루킹스연구소 상근 연구위원이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2015-03-27
  •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에너지효율성 향상과 신재생에너지공급의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목적으로 전력산업과 IT...

  • 시리즈 펀드

    비슷한 형태로 연속 발행하는 펀드. 금융사가 한 펀드를 사모로 쪼개 팔아 공모를 회피할 때...

  • 생체모방로봇[biomimetic robot]

    인간을 비롯한 동물이나 곤충, 물고기 등의 기본구조와 원리, 메커니즘을 모방해 생활에 필요...

  • 삼중피복연료[tri-structural isotropic particle fuel, TRISO]

    TRISO 삼중피복연료는 고온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고급 핵연료로, 각 연료 입자는 우라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