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서학개미

 

국내주식을 사모으는 '동학개미'에 빗대어 미국 등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를 일컫는 말이다.

201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해외 주식 투자는 초고액 자산가들의 전유물이었다. 프라이빗뱅커(PB)를 통해 정보를 얻어 알음알음 투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투자자들이 해외로 눈을 돌린 것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증시의 지지부진한 흐름, ‘박스피(박스권+코스피지수)’가 계기가 됐다. 2014년 개인이 중국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도 투자자들을 자극했다. 개인도 홍콩거래소를 통해 중국 본토 A주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한 후강퉁 제도가 이때 시행됐다. 돈이 몰렸다. 2015년 6월 12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최고치(5178.18)를 찍었다. 1년 반 만에 150% 올랐다. 박스권에 지친 개인투자자들은 중국 주식으로 눈을 돌렸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가 홍콩과 중국 주식에 투자한 잔액은 2014년 16억5769만달러로, 처음으로 일본 주식을 넘어 1위를 차지했다. ‘중학개미’들의 시대였다.

하지만 2016년 상하이종합지수는 반토막이 났다. 투자자들은 변동성은 작고 성장성이 큰 시장을 찾기 시작했다. 미국이었다. 2017년부터 미국 주식 투자 잔액(42억2341만달러)이 홍콩과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은 또 한번의 계기가 됐다. 망할 일 없는 미국 주식에 돈이 몰렸다. 2030세대는 전기차 대장 테슬라, 플랫폼 대장 FANG(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주식 등 익숙하면서도 성장성이 높은 주식들을 대거 매수했다.

2024년 11월 7일, 서학개미들의 미국 주식 보관액이 사상 처음으로 1000억 달러(약 140조원)를 넘어서 1013억 6571만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말 680억 2349만달러에서 10개월여만에 49%가 늘어난 것이다.
이는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머무르는 사이, 미국 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 대선 승리 등으로 인해 연일 상승했기 때문이다.

관련어

  •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smile mask syndrome; masked depression]

    억지 웃음으로 인해 야기되는 심리적인 불안정 상태를 말한다. 직업이나 사회통념으로 인해 억...

  •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저장공간과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의 IT 인프라 장비를 빌려주는 서비스. 서...

  • 수급장세

    증권, 특히 주식에 대해서 수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시세의 등락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상...

  • 솨단[刷單]

    솨단은 중국어로 ‘신용카드 등을 긁는다’는 의미의 동사인 솨(刷)에 ‘주문’을 뜻하는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