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선급전 기술

 

궤도를 따라 곳곳에 설치된 급전장치에서 물리적 접촉 없이 열차에 전력을 보내는 방식이다. 자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한다. 휴대폰 무선충전 등에 쓰이는 기술이 대규모·대용량으로 발전했다고 보면 된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60헤르츠(㎐)급 전기에너지를 1000배인 60킬로헤르츠(㎑)로 증폭시키는 ‘급전인버터’가 핵심 기술이다. 이 정도 세기가 돼야 6량짜리 경전철을 움직일 만한 전력을 보낼 수 있는 자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 11월 13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고주파 대용량 무선급전’ 기술을 적용한 경전철로 2만7000㎞ 시험주행을 마치고 지난 13일 경북 경산에서 시연회를 열었다.

  • 미국 투자이민[Employment-Based Immigration-5, EB-5]

    EB-5는 취업이민의 한 종류이지만 미국인 고용주가 있어야 가능한 취업이 아닌, 본인의 자...

  • 명의신탁

    부동산, 유가증권과 같은 재산을 친척 등 제3자의 명의를 빌려 등기부에 등재한 후 실질적인...

  • 미신경제학[voodoo economics]

    부두(voodoo)는 미국 남부에서 행해졌던 일종의 주술적 종교를 말하는데로, 미신경제학은...

  • 모바일 포렌식[mobile forensic]

    포렌식은 법의학 용어로 범죄에 대한 증거를 확정하기위한 과학적 수사를 일컫는 말이다. 모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