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필수공제는 전기 사용량이 월 200㎾h 이하인 저소비층에 월 4000원 한도로 요금을 깎아주는 제도다. 2018년 기준으로 958만 가구(전체 가구의 49%)가 혜택을 봤으며 총 할인금액은 3964억원이다.

2020년 12월 17일 정부와 한국전력은 전기 요금 개편안을 확정하고 ‘필수 사용량 보장 공제’ 제도를 2021년 7월부터 50%로 축소하고, 2022년 7월 전면 폐지하기로 발표했다.

관련어

  • 프리터[freeter]

    영어의 `자유로움''을 뜻하는 프리(free)와 독어의 ''노동자''를 뜻하는 ''아르바...

  • 푸드테크[FoodTech]

    식품을 뜻하는 Food와 기술을 뜻하는 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과 기술을 결합하...

  • 페이-고[pay-go]

    `번 만큼 쓴다'는 뜻의 `pay as you go'의 줄임말이다. 재정지출 총량은...

  • 표제부

    등기부등본은 표제부, 갑구, 을구 3가지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표제부에는 해당부동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