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타시옹F

 

파리 13구에 있는 세계 최대 스타트업 캠퍼스.

프랑스 통신사 ‘프리’의 창업자 자비에르 니엘이 사재(2억5000만유로·약 3338억원)를 털어 유휴 철도역을 재개발해 만든 공간이다. 2017년 6월 개관한 이곳에는 세계 78개국에서 온 1000여 개 스타트업이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다.

외국기업은 입주기업의 3분의 1 정도다. 애플, 구글, 아마존, OVH(유럽 최대 클라우드 컴퓨팅업체) 등은 이들 스타트업에 성공DNA(유전자)를 이식하고 있다. 또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들은 스타시옹 F의 파트너사로 30여 개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을 직접 육성한다. 퓨처셰이프, 크리에이티브밸리 등 수십 개 벤처캐피털(VC)은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 타이밍을 저울질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국경을 초월한 스타트업 기업·기술 간 합종연횡이 활발하다. 네이버는 ‘스페이스 그린’이라는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 서비스 분야의 16개 스타트업 육성에 나섰다. 국내 스타트업 ‘위시어펀’과 ‘커넥위드’는 프랑스 기관의 도움을 받아 스타시옹 F에 입주했다. 이들의 타깃시장은 유럽이다.

모바일 쇼핑목록 서비스업체인 위시어펀의 이단비 대표는 “서로 다른 업종, 서로 다른 성장단계의 스타트업 7~8곳이 한 개의 길드로 뭉쳐 각자의 경험을 공유한다”며 “스타시옹 F에 입주한 뒤 글로벌 VC로부터 투자 문의도 쇄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 시프트[Shift]

    서울시가 중산층과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공급하는 장기전세주택 브랜드를 말한다. 서울에 거주하...

  • 상장지수상품[ETP]

    ETN(상장지수증권)과 ETF(상장지수펀드)를 합쳐서 부르는 용어다.

  • 성장주[growth stock]

    성장주는 현재보다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종목을 말한다. 가치주에 비해 현재 창출하는 이...

  • 사용가치

    해당 재화를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