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켈리 라이트

 

미국 투자자문회사인 인베스트먼트퀄리티트렌즈(IQT)의 배당주 투자 전략을 집대성한 투자 전문가로 뉴스레터 편집장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로 활동하고 있다.

라이트는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런 버핏 등 가치투자자들이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주당순이익)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주당순자산) 등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낸 것처럼 배당을 통해 블루칩을 선별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그 투자법을 진화시켰다. 그는 가치투자의 토대에 배당주 투자라는 개념을 정립해 ‘가치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과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등을 잇는 가치투자자로 인정받고 있다. 라이트는 “기업이 발표하는 순이익과 장부가치는 그 기업의 내재가치를 측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배당은 기업이 수익을 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라고 설파했다.

라이트는 대학시절 그레이엄의 저서 《현명한 투자자》를 접하고 ‘다우이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우의 책을 읽으며 투자를 배웠다. 1984년 증권회사에서 일하기 시작한 뒤 1989년 배당주 투자에 본격 나섰다
그는 배당은 회사가 건실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했다. 재무제표 등은 속일 수 있고, 속이는 경우도 많지만 배. 2002년부터는 배당투자 관련 투자 뉴스레터인 ‘인베스트먼트퀄리티트렌즈(IQT)’의 편집장이 됐다. 현재 이 간행물의 편집장인 동시에 같은 이름의 투자자문회사 인베스트먼트퀄리티트렌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로 일하고 있다.
당은 현금으로 주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로 거짓말을 할 수 없다’고 했다. 그의 투자원칙을 정리한 책이 《절대로! 배당은 거짓말하지 않는다》이다.

배당주 투자는 꼬박꼬박 수익을 챙길 수 있어 매력적이다. 주가가 하락해도 배당수익을 통해 손실의 일부를 만회할 수 있다.
라이트는 한 걸음 더 나아갔다. 배당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배당수익률을 통해 기업의 적정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그는 “배당수익률의 흐름을 추적하면 주가가 저평가됐는지, 고평가됐는지 알 수 있다”며 “저평가 영역에서 주식을 사고 고평가됐을 때 파는 방식으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당을 강조하지만 배당성향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경계했다. 지나친 배당은 회사의 장기 성장을 위한 투자를 가로막는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지속적으로 배당이 증가하는 것은 좋지만 배당성향이 과도하게 높으면 지속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케이블 TV 업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모뎀으로서 미래 네트워크 병목현...

  • 클라우드 게임[cloud game]

    게임을 서버에 저장한채 각각의 단말기 사용자들이 서버에 접속해 게임을 불러내 즐길수 있도록...

  • 콘드라티예프 파동[Kondratieff cycle, Kondratieff wave]

    구소련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가 1920년대에 주장한 이론. 그는 서방 자본...

  • 콜레라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균에 감염돼 생기는 질환이다.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면 감염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