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충돌증후군
어깨를 덮은 견봉뼈와 팔을 움직이게 하는 힘줄이 부딪히면서 염증이 생기는 질환.
팔을 어깨높이보다 높게 들어 올렸을 때 통증이 느껴지거나 어깨 속에 뭔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 있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이 있으면 팔을 들 때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난다.
어깨 사용이 많은 운동을 하거나 운동할 때 잘못된 자세를 반복하면 생기기 쉽다. 대부분 스포츠 손상 때문에 생긴다. 컴퓨터 사용이 잦은 직장인, 가사노동이 많은 주부도 이 질환을 많이 호소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엑스레이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힘줄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한다. 초기에는 어깨를 쉬기만 해도 증상이 나아진다.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계속되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한다. 견봉뼈가 굽어 문제가 생겼다면 견봉 아랫면을 평평하게 하는 시술도 한다. 힘줄이 망가졌다면 이를 봉합하는 수술도 함께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팔은 가능한 한 어깨높이 아래에서 움직이고 운동 전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야 한다.
-
이해관계자[stake-holders]
기업에 대해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집단. 주주뿐 아니라 소비자, 종업원, 지역사...
-
외국인 고용허가제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조건을 국내근로자와 동등하게 보장해 주는 제도로 2004년 8월부터 시행...
-
위산과다증[hyperacidity]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증상. 과산증이라고도 한다. 위액 속에 들어 있는 ‘위산’...
-
유럽통화제도[European Monetary System, EMS]
1979년 유럽공동체가 통화통합을 목표로 공식 발족시킨 통화제도. EMS의 주요 내용은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