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어깨충돌증후군

 

어깨를 덮은 견봉뼈와 팔을 움직이게 하는 힘줄이 부딪히면서 염증이 생기는 질환.
팔을 어깨높이보다 높게 들어 올렸을 때 통증이 느껴지거나 어깨 속에 뭔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 있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이 있으면 팔을 들 때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난다.

어깨 사용이 많은 운동을 하거나 운동할 때 잘못된 자세를 반복하면 생기기 쉽다. 대부분 스포츠 손상 때문에 생긴다. 컴퓨터 사용이 잦은 직장인, 가사노동이 많은 주부도 이 질환을 많이 호소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엑스레이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힘줄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한다. 초기에는 어깨를 쉬기만 해도 증상이 나아진다.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계속되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한다. 견봉뼈가 굽어 문제가 생겼다면 견봉 아랫면을 평평하게 하는 시술도 한다. 힘줄이 망가졌다면 이를 봉합하는 수술도 함께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팔은 가능한 한 어깨높이 아래에서 움직이고 운동 전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야 한다.

  • 용융염원자로[molten salt reactor, MSR]

    고온의 용융염(molten salt) 속에 핵연료 물질인 토륨, 불화우라늄, 지르코늄, 리...

  • 오버슈팅[overshooting]

    상품이나 금융자산의 시장가격이 이론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가격 이상으로 급격하게 오르는 경...

  • 엑시노스9630

    삼성전자가 2019년내 출시를 목표로하고 있는 `엑시노스 980'의 가칭. 삼성전자가 이동...

  • 안전채권

    안전채권은 은행대출금이나 유가증권 등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자산 가운데 돈을 돌려받지 못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