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회전근개

 

어깨관절을 덮고 있는 4개의 힘줄인 극상근, 견갑하근, 소원근, 극하근을 말한다.

어깨를 들거나 돌리는 운동에 영향을 주는 조직이다. 이 힘줄이 계속 충격을 받거나 노화로 서서히 끊어지면 파열될 수 있다. 다치거나 운동을 심하게 할 때도 마찬가지다. 중년 이후 여성은 가사노동을 많이 해 퇴행성 변화가 생기면서 회전근개가 파열되는 일이 많다. 30~40대 젊은 남성 환자는 어깨에 반복적인 충격을 줘 생긴 환자가 많다.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특정한 동작을 할 때 어깨 통증을 호소한다. 초기에는 통증이 상당히 심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든다. 이 때문에 과격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층은 근육통으로 오인해 질환을 방치하기도 한다. 증상을 방치하면서 치료 시기가 늦어지면 파열 범위가 점차 넓어진다. 치료 과정도 길고 복잡해진다.

회전근개파열은 조기에 진단해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힘줄이 완전히 끊어지지 않았다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등을 활용한다. 힘줄이 완전히 끊어졌다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을 한다. 끊어진 상태를 오래 방치했거나 파열 정도가 심해 봉합하기 어렵다면 이식수술을 받아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도 한다.

  • 현물상환월[spot delivery month]

    실제 상품의 인도가 이루어진 달과 가장 가까운 달. 1월 말에 2월 거래계약을 가진 상품의...

  • 합성담보부증권[synthetic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Synthetic CDO]

    보통 자산담보부증권(CDO)은 이전 대상이 되는 자산의 법적 소유권이 유동화전문회사(SPV...

  • 휴민트[Humint]

    활동하면서 정보를 수집하는 인적 정보를 말하며 사람(Human)과 정보(Intelligen...

  • 하이브리드 웹[hybrid web]

    인터넷 웹과 스마트폰 앱이 합쳐진 형태의 미래의 미래의 소프트웨어. 기존의 여러 디바이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