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태양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핵융합연구소가 운영하는‘KSTAR’가 인공 태양 연구장치이다.
국가핵융합연구소 2018년 초전도 토카막 장치(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설비)를 이용한 실험에서 이온 온도를 1억 도까지 높여 1.5초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초전도 토카막 장치를 통해 이온 온도를 1억 도까지 높인 것은 세계 처음이다. 중국과학원 플라즈마 물리연구소는 2018년 11월 토카막 연구장치 ‘이스트(EAST)’로 플라즈마 온도 1억 도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온이 아닌 전자의 온도 기준이었다.
온도를 다소 낮추면 고온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진다. 핵융합연구소의 KSTAR는 지난해 7000만 도(전자 온도) 플라즈마를 90초간 유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5000만 도(전자 온도)에서 100초를 버틴 중국과학원의 이스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
위칭데이[Witching Day]
witching은 마녀가 마법을 쓴다는 뜻의 단어로 witching day는 마녀가 활동하...
-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표시제도
에너지 소비가 많고 보급률이 높은 제품을 대상으로 1∼5등급으로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을 부...
-
안전도 라벨링제
자동차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현재 신차에 적용 중인 평가항목을 충돌분야 5개 항목에서 8...
-
여신전문금융채권
신용카드사,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은행, 상호금융 등 예금취급기관과는 달리 수신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