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적자본지수

[Human Capital Index, HCI]

한 나라의 보건·교육환경을 반영해 오늘 태어난 아이가 18세까지 얻게 될 인적자본의 총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 지수는 0과 1 사이의 값으로 표기하는데, 아이가 완전한 교육과 의료를 제공받았을 때 값이 1이다.

2019년 10월11일 세계은행은 처음으로 세계 157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적자본지수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 인적자본지수는 0.84로 싱가포르(0.8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한국에서 태어난 아이는 완전한 교육과 의료 혜택을 받았을 경우에 비해 84% 수준의 생산성을 갖는다는 의미다.

일본은 0.84로 한국과 지수는 같았지만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에서 더 낮아 3위였다. 4위는 홍콩(0.82), 5위 핀란드(0.81), 6위 아일랜드(0.81), 7위 호주(0.80), 8위 스웨덴(0.80), 9위 네덜란드(0.80), 10위는 캐나다(0.80)였다. 미국은 24위(0.76), 중국은 46위(0.67)였다. 차드(0.29) 남수단(0.30) 니제르(0.32) 말리(0.32) 라이베리아(0.32) 등 아프리카 국가들이 최하위였다.

  • 원외탕전실

    의료기관 외부에 별도로 설치돼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 탕약, 환제, 고제 등의 한약을 전문적...

  • 올레핀[olefin]

    천연가스나 원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불포화 탄화수소. 플라스틱, 합성섬유, 합성고무의...

  • 임대차 3법

    전·월세 시장의 안정과 임차인의 권리 강화를 목표로 정부와 국회가 추진한 세 가지 핵심 임...

  • 이익비준방식[comparable profit method]

    이익비준방식은 신고된 외국기업의 이익률이 미국 내 동종업체의 평균이익률보다 현저히 낮을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