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C형 간염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에 감염되었을 때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바이러스 간염은 바이러스로 인해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형, B형, C형으로 나뉜다. 유병률은 B형이 가장 높고 C형, A형 순이다.

그러나 C형은 A·B형과 달리 증상이 없어 일찍 진단하기 어렵다. A·B형은 감기나 몸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C형은 특별한 징후가 없어 환자의 70~80%가 감염 여부를 인지하지 못한다. 10~20년이 지나 간경변으로 진행되고 나서야 뒤늦게 감염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C형 간염은 70~80%가 만성간염으로 나빠지고 이 가운데 30~40%가 간경변, 간암으로 발전한다. 전체 간암의 12%가 C형 간염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포함한 체액을 통해 감염된다. 아직 백신이 없기 때문에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등 혈액이나 타액이 묻을 수 있는 기구 사용에 주의하고 위생적이지 않은 문신, 피어싱 시술 등을 피하는 게 유일한 예방법이다.

C형 간염은 발견 시 완치 가능한 질병이다. 2015년 경구제가 국내에 들어오기 전까지 C형 간염 표준 치료제는 주사제인 인터페론이었다. 치료 기간이 1년으로 길고 치료 성공률은 60%에 그쳤다. 탈모, 고열, 오한, 우울증 등 부작용도 있었다. 현재 쓰이는 경구용 치료제는 3~6개월만 복용하면 99%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 덜하다.

  • CNT 펠리클[CNT pellicle]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포토마스크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하는 소재다. 기존 금속 실...

  • CTO[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기술경영자. 기업활동 중에서 기술을 효과적으로 획득·관리·활용하기 위한 모든 경영지원 ...

  • COP26 공동 선언

    2021년 11월 10일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의장국인 영국주도로...

  • CBM[cubic meter, CBM]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미터인 부피를 환산 하는 단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