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무트 홀리 관세법

[Smoot–Hawley Tariff Act]

미국이 대공황 초기인 1930년 산업 보호를 위해 제정한 관세법.

공화당 소속 리드 스무트 의원과 윌리스 홀리 의원이 주도한 법안으로 2만여 개 수입품에 평균 59%, 최고 400%의 관세를 부과하도록 한 법안이다.

이로 인해 세계 각국에 보호무역이 번졌고 대공황을 더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 수평적 분화[horizontal specialization]

    단일관리기능이 기능적 관리와 같은 하위기능으로 분화되는 조직과정. 조직성장을 위해서는 추가...

  • 신주 상장일

    증자나 감자, 주식전환 등으로 인해 새로 발행되는 주식이 상장되는 날을 말한다.

  • 산업용품[industrial goods]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에 필요하기 때문에 구입하는 제품이나용역.중기계, 원재료, 타자기, ...

  • 사이버 반달리즘[cyber vandalism]

    익명성을 악용해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거짓 정보를 올리는 등 사이버상의 질서 파괴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