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생략증여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고, 세대를 건너뛰어 손자에게 재산을 이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보다 30%(증여가액이 20억원 초과 시 40% 할증) 할증된 증여세율이 적용된다. 예컨대 부모가 자녀에게 1억원을 증여한다면 증여세는 1000만원(증여세율 10%)이 된다. 이를 손자에게 증여하면 30% 할증된 증여세율(13%)이 적용돼 증여세는 1300만원이 된다. 자녀에게 증여하는 것보다 세금이 많다. 하지만 부모가 자녀에게, 자녀가 다시 손자에게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 총액(2000만원)과 비교하면 세대생략 증여가 세금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는 10년 동안 합산해 과세하는데, 손자에게 증여하면 자녀에게 증여한 재산과 합산되지 않아 누진세를 피할 수 있다. 자녀는 증여받은 재산이 부모 사망일로부터 10년이 지나야 상속재산에 포함되지 않지만 손자는 5년만 지나면 상속재산에서 제외된다는 것도 장점이다
-
세계경제자유 보고서[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전 세계 자유주의 경제연구소 협의체인 경제자유네트워크(EFN)가 발표하는 국가별 경제자유도...
-
사이버 여피[cyber yuppie]
정보 슈퍼하이웨이의 시대에 새로이 등장하고 있는 신흥계층.사이버 여피의 장점은 비용절감과 ...
-
사일로 효과[Organizational Silos Effect]]
조직 부서들이 서로 다른 부서와 담을 쌓고 내부 이익만을 추구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 곡식...
-
성과지표의 순차적 세분화[Cascading]
사업본부의 성과지표를 하위 팀 단위로, 다시 이를 개인 단위로 분해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