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화 현상
지진 같은 진동으로 땅속의 물이 빠지지 않고 고여 흙이 마치 액체처럼 반응하는 현상. 1953년 일본 학계가 처음 제기한 이론이다.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면 진흙이나 모래가 약해진 지반을 뚫고 솟구쳐 올라 지상의 건물과 구조물을 위태롭게한다.
이런 액상화는 모래·흙 같은 토양 알갱이가 곱고 알갱이 간격이 넓은 지반, 얕은 지하수, 큰 지진 등 3박자가 맞으면 일어난다. 1964년 일본 니가타현 지진과 미국 알래스카주 지진 때 처음 발견됐는데 당시 지반이 무너지면서 교량이 넘어지고 아파트가 통째로 쓰러지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퇴적층이 있는 매립지나 해안가 등 연약지반에서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액상화가 한번 일어난 지역의 지반은 매우 약해진다. 추가 지진이 일어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한국의 경우 2017년 11월 15일 2시 10분경 경북 포항에서 규모 5.5의 지진이 발생한 이래 진앙 근처 곳곳에서 액상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
양자도약[quantum jump]
"양자도약"은 물리학과 경제·경영 분야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물리...
-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The Pharmaceutical Inspection Convention and Pharmaceutical Inspection Co-operation Scheme, PIC/S]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과 실사의 국제 조화를 주도하는 국제 협의체로 1995...
-
이리듐 프로젝트[iridium project]
1991년 미국 모토로라가 주축이 되어 계획한 초대형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축사업을 말...
-
오션3
세계3위 해운 선사인 프랑스의 CMA-CGM, 세계7위 선사인 중국의 CSCL 세계 19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