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입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는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얻어진 부가가치(이윤)의 10%를 내는 세금으로 대표적인 간접세다. 과세대상은 국내에서의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과 재화의 수입 두 가지로 나뉜다. 전자를 ‘국내분 부가가치세’, 후자를 ‘수입분 부가가치세’라고 부른다. 여기서 ‘재화의 수입’은 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착된 물품(공해상에서 우리 선박에 인도된 수산물포함)과 수출면허를 받은 물품이 국내로 반입되는것을 가리킨다. 수입부가세의 과표는 관세의 과표인 ‘물품가격+운임+보험료+기타비용’에관세, 특소세, 주세 등을 포함한 것.

예컨대 물품 가격이 1만원이고 운임과 보험료 기타비용을 합한 금액이 1만원인 일반 상품(관세율을 10%로 가정)을 수입한다고 치자. 이 상품의 관세는 2만원(물품가격+운임+보험료+기타비용)의 10%인 2천원이 된다. 이 상품이 특별소비세와 주세를 물지 않는 상품일 경우 수입부가세는 2만원(관세과세가액)에 관세 2천원을 더한2만2천원의 10%인 2천2백원이 된다.

  • 수전해

    물을 전기분해해 고순도(99.999%)의 수소(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친환경이...

  • 새로운 뉴트럴시대[new neutral]

    저성장 시대를 넘어, 더욱 느린 경제회복을 뜻하는 말로 세계 최대 채권펀드 핌코가 2014...

  • 스팩펀드

    채권 투자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SPAC) 공모주로 초과 수익을...

  • 시스템 위기[system crisis]

    한 금융기관의 유동성 부족이나 파산이 해당 금융기관에 그치지않고 다른 금융기관들로 파급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