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기종합지수

[composite index, CI]

경기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전환점과 속도 및 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의 일종.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경기종합지수를 매달 작성, 발표하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는 앞으로의 경기를 단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선행지수(leading CI), 현재의 경기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동행지수(coincident CI) 및 현재의 경기를 사후적으로 확인해주는 후행지수(lagging CI)의 3가지로 구분한다.

이들 지수는 각각의 구성지표를 종합해 작성되며 개별구성지표의 월별통계자료(original series)에서 계절적 요인, 재해 또는 우발적 사건과 같은 비정상적인 요인 등 경기외적인 변동요인을 통계적 방법으로 제거한다.

  • 그린메일[Greenmail]

    투기성 자본이 경영권이 취약한 기업의 지분을 매집한 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을 교체하겠다고 ...

  • 가격정책

    원래는 기업경영에 있어 판매관리나 구매관리에 이용되는 가격정책을 의미했으나 최근에는 수출과...

  • 과세적부심

    납세자가 세금고지 전 세무서에 세금의 적정성 여부를 가려 달라고 내는 구제신청제도다. 고지...

  • 공공보건 의료대학

    의료 취약지에서 10년 이상 근무하는 조건으로 입학을 허용해 공공의료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