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효과가뭄지수

[effective drought index, EDI]

비가 온 뒤 유출된 양을 빼고 잔존량(유효수자원량)을 계산해 평균치와 비교한 값이다. 그 값이 0이면 ‘정상’, -1 이하면 ‘약한 가뭄’, -1.5 이하는 ‘심한 가뭄’, -2.5부터는 ‘극심한 가뭄’으로 구분한다.

  • 헤르츠

    1초에 바뀌는 전류 방향 변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한다. 그 중에서 헤르츠(Hz)는 교류 주...

  • 희망격차사회

    미래에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사람과 가질수 없는 사람으로 나뉘는 사회현상을 말한것으로 야마...

  • 한방병원 인증제

    정부가 전국 203개 한방병원(30병상 이상인 한의원)을 대상으로 환자 진료 시스템과 안전...

  • 한국배당주가지수[Korea Dividend Stock Price Index, KODI]

    일정수준이상의 수익성(자기자본이익율), 시장대표성(시가총액), 유동성(거래대금)이 있는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