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수가
[醫療酬價]의료수가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 따른 대가를 정의하는 금액으로, 병원의 인건비, 재료 원가, 시설 운영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결정된다. 이는 특정 의료 행위나 서비스에 대해 건강보험을 통해 지급될 비용을 말하며, 의료수가 체계는 일부 과목에서 고정되어 있고 일부 과목에서는 그렇지 않은 구분이 있다.
예를 들어, 성형외과, 안과, 피부과 등 일부 전문과목에서는 의료수가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시장 기반의 가격 결정 메커니즘에 더 가깝다. 반면, 내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 의료 분야에서는 의료수가가 고정되어 있어, 모든 국민이 비용 부담 없이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된 의료수가 체계는 필수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병원의 실제 운영 비용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해 병원 적자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특히, 필수 의료 분야에 대한 고정 의료수가는 병원이 이 분야에서 충분한 수입을 확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의료 서비스 제공자 사이에서 이 분야를 기피하는 경향을 증가시킨다. 이는 의료 인력, 특히 전공의들의 분야 선택에 영향을 미쳐, 필수 의료 분야에 대한 인력 부족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
인류세[人類世, The Anthropocene, The Age of Humans]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구 환경이 크게 변화한 새로운 지질 시대를 뜻하는 말로, 인간의 책임...
-
알레르기 샤이너[Allergic Shiners]
알레르기 탓에 코 속에 콧물 등이 가득차거나 부비동이 부어 다크서클이 생기는 것을 칭하는 ...
-
애프터 쇼크[After Shock]
2006년 로버트·데이비드 위더머 형제와 신디 스피처는 공동 출간한 ''미국의 버블경제''...
-
임베디드 브라우저[embedded browser]
컴퓨터의 익스플로어 (Explorer)와 같이 모바일이나 가전기기에서도 인터넷 접속 및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