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C1 가스 정제기술

 

탄소 1개로 이루어진 가스(세일가스(CH4)) 및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CO, (CH4))를 활용해 다양한 기초 화학소재 및 수송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세일가스(CH4), 온실가스(CO, CH4 등) 활용 기술은 고온, 고압 상태에서 다양한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석유 대비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반면 ‘C1가스 정제기술’은 바이오 및 화학촉매를 복합적으로 활용해 저온, 저압 상태에서 일산화탄소(CO), 메탄(CH4) 가스 등을 기초 화학소재, 제품 및 수송연료로 직접 전환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아 미국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석유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은 미래창조과학부 ‘C1 가스 리파이너리’ 원천기술 개발 사업에 2015년부터 9년간 1415억원을 투자한다고 2015년 6월 15일 14일 발표하기도 했다.

  • CDS 프리미엄[CDS premium]

    CDS(Credit Default Swap·신용부도스와프)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 CFD[contract for difference]

    개인이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진입가격과 청산 가격의 차액(매매 차익)만 현금으로 결제하는 ...

  • CD롬 드라이브[CD ROM drive]

    CD롬 타이틀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내는 컴퓨터 주변기기이다. 사운드 카드가 설치된 컴퓨터...

  • C40 기후리더십 그룹[C40 Climate Leadership Group]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0% 내외를 차지하는 대도시들이 세계적 기후변화에 공동 대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