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위기관리제도
채무, 금고 잔액, 공기업 부채 등 재정지표가 기준을 벗어난 지자체를 재정위기 단체로 지정하는 제도로 2011년 도입됬다. 예산 대비 채무 비율이 40% 이상이면 심각, 25~40% 미만은 주의, 25% 미만은 양호로 분류된다.
2014년 10월 기준으로 예산 대비 채무 비율이 25%를 넘어 ‘주의’ 단계로 분류된 지방자치단체는 인천(36.1%), 경기 용인(29.0%), 대구(28.1%), 부산(27.8%) 등 4곳이다. 지금까지 예산 대비 채무비율이 40%를 넘은 지자체는 한 곳도 없다. 재정위기 주의 단계로 분류되더라도 신규 투·융자사업과 지방채 발행 규모만 일부 줄어들 뿐이다. 채무비율이 40%가 넘는 ‘심각’ 단계에 접어들더라도 교부세 감액 등의 조치만 추가될 뿐 특별한 제재 수단은 없다.
이에 따라 지자체가 갑작스럽게 채무불이행 위기에 몰리거나 자구노력으로는 위기 상태를 극복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정부가 개입해 구조조정을 진행시키는 긴급재정관리제도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
적화보험[cargo insurance]
선전 화물이 위험에 노출된 경우 화주가 받는 손실을 보상받는 해상보험. 이 때 보험에 ...
-
증권등급평정[security rating]
무디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사 같은 신용평가기관에서 발표하는 증권의 신용평가와 투자위험평...
-
제휴카드
종래 물품구매 기능만 있던 신용카드의 기능에 신분들이나 각종 회원증 기능이 추가돼여러가지 ...
-
재건 채권 프로그램[The Build America Bonds Program, BAB Program]
미국 지방자치단체가 사회간접자본 건설 등을 위해 재건채권(BAB)를 발행할 경우 미국 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