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투하오

[土豪]

촌스럽다는 뜻의 중국어 ‘투(土)’와 부자를 뜻하는 ‘하오(豪)’가 합쳐진 말로 ‘교양과 지식은 없는 벼락부자’를 뜻한다.

우리말로 바꾸면 ‘졸부’에 해당하는 말이다. ‘충얼다이(窮二代)’와 ‘중찬제지(中慘階級)’ 등은 서민층이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면서 만들어낸 말이다. ‘충얼다이’는 가난하다는 뜻의 ‘충(窮)’과 2세를 뜻하는 ‘얼다이(二代)’가 합쳐진 것으로 ‘서민의 자식’을 의미한다. 부자 부모를 둔 ‘푸얼다이(富二代)’를 살짝 변형한 것이다.

중국 사회에서도 부의 세습과 가난의 대물림이 사회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찬제지’는 원래 중산층을 뜻하는 중산계급(中産階級)의 두 번째 글자 ‘産’을 같은 발음의 ‘慘(비참할 참)’으로 대체해 만들어냈다. 요즘 중국 중산층의 삶이 그만큼 팍팍하고 힘겹다는 것을 의미한다.

  • 토지거래허가구역

    땅 투기방지를 위해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할 우려가 있는 지역 중 국토교통부장관, 서울...

  • 톱니효과[Ratchet Effect]

    톱니바퀴가 한쪽으로만 도는 것처럼 소비수준(눈높이)이 한 번 높아지면 다시 낮아지기 힘들어...

  • 택지개발촉진법

    도시의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택건설에 필요한 택지의 취득·개발·공급 및 관리 등을 용이...

  • 탄소톤/이산화탄소톤[ton of carbon/carbon dioxide ton, TC/TCO2]

    탄소톤(TC)은 온실가스중 가장 비중이 큰 이산화탄소(CO2)를 탄소(C)를 기준으로 환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