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생명표

[mortality table]

인간의 생명에 관한 통계표. 인구가 각 연령에서 사망으로 소멸돼가는 과정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사망표 혹은 사망생조표라고도 한다. 남녀별, 연령별로 작성한다. 생명표는 연령별로 얼마나 더 살 수 있는가를 평균적으로 나타내주기 때문에 인구통계 등의 인구분석 외에도 다방면에 활용된다. 예컨대 보험요율 산정, 인명보상비 계산 등의 기초자료가 된다. 또 생명표는 성별 평균수명이나 사망률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줘 직장에서의 정년 결정의 기초자료가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1964년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이 1955년부터 1960년까지의 생명표를 처음으로 작성한 이래 9종류의 생명표를 작성했다. 생명표는 우선 연령별 성별추계인구와 출생, 사망자수 등을 기초로 하고 해외이민 등 인구의 국제이동은 없다고 보며 동시에 10만명이 출생했다는 가정하에 만들어진다.

  •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 HMPV]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로, 2001년 네덜란드에서 최초로 발견됐다. ...

  • 스왑션[swaption]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바꾸는 스와프(swap)와 일정기간 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

  • 수익비

    퇴직 후 받는 연금 총액을 납부한 금액 총액으로 나눈 비율.

  • 스토킹 피해자 보호법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방안을 담은 법률로 2021년 10월 21일부터 시행된 스토킹처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