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문화기본법

 

문화의 가치와 위상을 높여 문화가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으로 2013년 12월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문화기본법은 총 13개 조항으로 구성돼 국민의 문화권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의 책무 등을 명문화하고 있다. 문화의 정의, 문화 정책 수립과 시행상의 기본 원칙, 5년 단위의 문화 진흥 기본 계획 수립, 문화 진흥을 위한 조사·연구와 개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5년 기간을 단위로 범정부 차원의 문화 진흥 기본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어 한 부처 단위를 넘어선 국가적 차원의 문화 융성 비전과 종합적 방안이 추진될 수 있는 제도적 토대를 구축했다.

  • 메트릭 톤[metric ton]

    중량 단위로 1,000kg을 1톤으로 정한 것을 말한다.

  • 매입초과포지션

    현물자산잔액과 선물자산잔액의 합계액이 현물부채잔액와 선물부채잔액의 합계액을 초과하는 경우의...

  •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

    추억은 항상 아름답다고 하며 좋은 기억만 남겨두려는 심리를 말한다. 무드셀라 증후군이 있는...

  • 메이저[international oil majors]

    세계 여러 산유국의 석유자원을 손에 넣고 채광, 개발, 생산에서부터 운송, 정제, 판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