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삼면등가의 원칙

 

국민소득은 만들어서(생산) 나누어 가지고(분배) 쓰는(지출) 양이 모두 같게 되는데 이를 가리켜 국민소득 삼면등가의 원칙이라 한다. 국민소득은 세 가지 다른 얼굴로 파악되는데 이를 생산·분배·지출국민소득이라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 국민소득은 그 크기가 똑같은데 그것은 국민소득이 생산·분배·지출 과정을 통하여 순환하기 때문이다.

먼저 기업이 노동·자본·토지·경영 등의 생산요소를 구입하여 생산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부가가치, 즉 생산국민소득이 발생하면 여기에서 생산에 참여한 근로자는 급여, 돈을 빌려준 사람은 이자, 또 토지를 빌려준 사람은 임대료를 받게 된다. 그리고 이들 소득을 공제한 나머지가 이윤으로서 기업가에게 돌아가게 되는데 이같은 소득을 모두 합하여 분배국민소득이라 한다. 따라서 생산국민소득과 분배국민소득은 같아진다.

또 분배된 소득은 개인이 물건을 구입하는 데 사용(소비)하거나 기업이 차기의 생산을 위하여 공장을 짓거나 기계를 사들이는 데 지출(투자)함으로써 최종생산물에 대한 수요로 나타나며 이를 지출국민소득이라 한다.

  • 시장성유가증권[marketable securities]

    매매 가능한 증권. 한 투자자로부터 다른 투자자에게 유통될 수 있는 증권으로 은행 인수어음...

  • 사업재편 지원제도

    기업이 신사업 진출이나 중복사업 부문 통합 등 사업재편 계획을 수립하면서 세제 감면이나 절...

  • 스미스 부인

    =와타나베 부인

  • 스타링크[Starlink]

    스타링크(Starlink) 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SpaceX)가 운영하는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