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보르다 투표

 

콩도르세와 같은 시대를 산 수학자 보르다(Jean-Charles de Borda)는 유권자의 선호도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후보에게 순위를 매겨 점수를 부여토록 했다. 예를 들어 1위는 10점, 2위는 9점을 주는 식이다. 1위를 많이 획득한 사람의 점수가 높은 것은 분명하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서 MVP를 선정할 때 이 방식이 적용된다. 투표권이 있는 기자들은 1등부터 10등까지 순위를 매긴다. 1등에겐 14점, 2등에겐 9점, 3등에겐 8점, 4등에겐 7점을 주며 10등에겐 1점을 부여한다. 최고 총점자가 MVP를 받는다. 하지만 이 경우 1등 수가 적어도 MVP가 된다. 1999년 페드로 마르티네스는 이반 로드리게스보다 1위 표를 많이 받고도 총점에서 졌다. 순위의 편차가 큰 데 따른 결과다.

  • 벤처펀드[venture fund]

    여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벤처기업이나 갓 창업한 기업에 자금을 투자하는 펀드. 벤처기...

  • 백투백헤지[back-to-back hedge]

    발행한 파생결합증권과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다른 거래상대방(주로 외국 금융회사)과 장외파생...

  • 보복 소비[revenge spending]

    질병이나 재난 등으로 위축됐던 소비가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현상. 2021년들...

  • 비정규직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시근로자와는 달리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는 계약직, 일용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