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검인계약서 제도

 

계약으로 소유권 이전등기를 할 때 시·군·구청의 검인을 받은 계약서를 첨부해야만 등기가 가능하게 한 제도. 미등기전매 등 불법적인 부동산 거래행위를 규제,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고 건전한 부동산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검인계약서의 작성은 부동산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 구청장 또는 군수가 관할하며 2개 이상의 시·군·구에 있는 부동산을 하나의 계약으로 거래하는 경우에는 그중 1개 관청의 검인을 받으면 된다. 검인계약서에는 계약당사자, 목적부동산, 계약연월일, 대금, 지급일자 등 지급에 관한 사항과 평가액 및 그 차액에 관한 사항 등이 기재된다.

  • 고정비율[fixed assets to net worth ratio]

    고정비율은 고정자산(유형자산)의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고정자산+투자자산)/자기자본]로서 ...

  • 근린상업지역

    지방자치단체가 주민편의를 위해 소규모 상업시설물이 몰려 있는 곳을 중심으로 상업지역으로 지...

  • 기업형 벤처캐피털[corporate venture capital, CVC]

    회사법인이 재무적 이익과 전략적 목적을 가지고 벤처기업체에 투자하기 위해 출자한 벤처캐피털...

  • 금융소외자

    신용등급이 낮아(7등급이하) 1·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등 정상적인 신용활동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