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전담보제도

 

사전담보제도는 중앙은행이 각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금액의 유동성이 높은 유가증권을 사전에 담보로 받아두었다가 한 금융기관의 결제불능 사태가 발생할 경우 이 담보를 처분해 결제부족자금을 충당하는 제도이다. 지급결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금융기관은 항상 대차관계에 있게 마련이어서 한 금융기관의 결제불능 사태는 연쇄적으로 다른 금융기관의 결제불능을 유발시켜 금융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는데 사전담보제도는 손실공동분담제도와 함께 이같은 결제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이다.

  • 산업금융채권[industrial financial debenture, 산금채]

    한국산업은행이 1954년부터 기간사업 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특수채권...

  • 선납

    다음 회차에 상환해야할 월납입액(원리금)을 당초 상환예정일보다 미리 상환하는 것. 조기(중...

  • 스낵 컬처[snack culture]

    시공간의 제약을 덜받고 과자를 먹듯 5~15분의 짧은 시간에 즐길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말한...

  • 셀레늄[selenium]

    항산화제의 일종. 적혈구의 혈구소가 산화되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며 간경화증에서는 간의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