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전담보제도

 

사전담보제도는 중앙은행이 각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금액의 유동성이 높은 유가증권을 사전에 담보로 받아두었다가 한 금융기관의 결제불능 사태가 발생할 경우 이 담보를 처분해 결제부족자금을 충당하는 제도이다. 지급결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금융기관은 항상 대차관계에 있게 마련이어서 한 금융기관의 결제불능 사태는 연쇄적으로 다른 금융기관의 결제불능을 유발시켜 금융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는데 사전담보제도는 손실공동분담제도와 함께 이같은 결제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이다.

  • 스윙 보터[swing voter]

    특별히 지지하는 후보나 정당이 정해지지 않았거나 바뀌는 유권자를 뜻한다. 이들은 정치...

  • 소액결제 서비스

    소액결제란 기관 간 뭉칫돈을 결제하는 거액 결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개인 간 또는 개인과 ...

  • 사회서비스 바우처제도

    노인, 장애인, 산모, 아동 등의 계층이 다양한 사회보장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 수입추천제도

    일정한 상품(공산품, 농수축산물 포함)의 수입이 국내산업이나 국민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