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부효과

[externality]

외부효과란 한 사람의 행위가 제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에 대한 보상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외부효과는 제3자의 경제적 후생을 낮추는 부정적 외부효과와 제3자에게 이득을 주는 긍정적 외부효과가 있다.

부정적 외부효과의 예로는 대기 오염, 소음 공해, 수질 오염 등이 있다. 이러한 부정적 외부효과는 제3자에게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긍정적 외부효과의 예로는 기술 개발, 교육, 보건 등이 있다. 이러한 긍정적 외부효과는 제3자에게 이익을 주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한다.

외부효과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이나 기업이 이를 고려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나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외부효과를 고려하여 규제나 지원 정책을 마련하여 개인이나 기업의 행동을 조절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환경 보호를 도모하고 있다.

  • 음압병실[negative pressure room]

    병원 내부의 병원체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특수 격리 병실. 전염병 확산 ...

  • 양로보험[endowment insurance]

    양로보험은 생존보험의 저축기능과 사망보험의 보장기능을 겸비한 절충형보험으로서 피보험자가 보...

  • 유엔 기후정상회의[UN Climate Summit]

    2020년 이후 적용할 신기후체제(2020년까지 세계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의무 감축에 들...

  • 유병자보험

    질병을 앓고 있거나 병력이 있는 소비자도 간소화된 심사 절차를 통해 가입할 수 있는 보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