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트레이드 드레스

[trade dress]

상품의 외관이나 포장, 서비스 제공 장소의 독특한 인테리어나 전체적인 외관의 이미지를 말한다. 기존의 상표(trade mark)가 기호나 문자, 평면적인 도형 등에 한정되었던 것과 대조되는 개념이다. 2012년 미국에서 벌어진 삼성과 애플의 지식재산권 관련 소송에서 바로 삼성이 애플의 트레이드 드레스를 침해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면서 한국서도 관심이 높아졌다.

트레이드 드레스란 용어는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용어만 달리할 뿐 유럽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도 비슷한 제도를 갖고 있다. 즉 입체상표제도다. 우리 상표법에서도 제품의 형상 또는 상품 포장의 형상 등을 입체 상표로 출원, 등록 받아 보호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튜닝[tuning]

    획일화된 디자인과 성능을 가진 양산차를 사용자의 수요에 맞게 최적화시키기 위해 차량을 바꾸...

  • 토지거래 허가

    건설교통부장관은 토지의 투기적인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지역과 그러한 우...

  • 타이거 맘[tiger mom]

    호랑이처럼 철두철미하게 프로그램을 계획해서 아이들을 키우는 어머니.

  • 토핑 경제[Topping Economy]

    피자에 원하는 토핑을 얹듯, 소비자가 기성 제품에 자신의 취향에 맞는 기능과 옵션을 추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