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통화의 저주
[curse under safe haven]미국, 유럽의 잇따른 위기로 안전통화로 부각된 엔화가 강세가 돼 가뜩이나 어려운 일본경제가 디플레이션이 우려될 정도로 더 어렵게 하는 상황을 말한다. 배리 아이켄그린 미국 버클리대 교수가 처음 주장했던 ‘안전 통화의 저주’는 미국과 유럽의 잇단 위기에 따라 안전 피난처(safe haven)로 엔화 수요가 증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일본의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미국, 유럽의 잇따른 경제위기로 엔화가 오히려 안전통화로 부각돼 강세를 띠게 되는 것이다. 2012년 12월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정책)가 태동한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채권단, 고객, 사회, 직원 등의 이해를 반영하는 자본주의의 한 형태. 독일 등 유럽의 방...
-
엔터프라이즈2.0
미국 하버드대의 앤드류 맥아피 교수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웹2.0의 개념과 플랫폼을 기업 ...
-
의료급여제
빈곤층의 의료지원을 위해 1976년 도입한 제도로 주수혜 계층은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이다....
-
영토 분쟁[territorial dispute]
일정한 영토의 주권을 두고 벌어지는 국가 사이의 국제 분쟁. ㄱ 중국명 댜오위다...